용융아연도금

SY-NT518 (용융아연도금 플럭스 첨가용 습윤침투제)


제품인 SY-NT518은 용융아연도금공정의 전처리 공정인 플럭싱(Fluxing)시 첨가하는 습윤 침투제입니다. 플럭스의 균일한 도포, 부도금의 저감 및 용융아연의 비산방지 등의 효과를 발휘함으로서 특수 액상 계면활성제입니다. 단, 여기서 플럭스란 ZnCI₂3NH₄CI(3호염화암모니아, 분자량296.79)된 복염이 물에 용해되어 그 농도가 15~40Be°인 것을 말합니다. 용융아연도금공정의 순서로는 이렇게 됩니다.



입하 → 검사 → 탈지 → 수세 → 산세 → 수세 → 후락스(fluxing) → 건조 → 아연도금 → 냉각(수냉) → 시험검사 → 출하


 
*플럭스(flux) 처리

철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피도금물 표면의 아연산화물을 없애며 제품표면이 산화되는 걸 방지합니다. 온도는 80℃ 정도에서 5분 정도 소요됩니다.

물리적 성질
제품성상
외 관 미황색 투명액상
조 성 특수 카치온활성제 혼합물
pH(4%수용액) 7.0 ± 1.0
이 온 성 카치온성
비 중 1.04 ± 0.05
용 해 성 10~40Be°의 플럭스용액에 투명하게 용해


주요특징
- 플럭스의 도포율이 대폭 상승됩니다. (플럭스의 피막이 99%이상 형성됩니다.)
- 플럭스조내에서의 액의 순환성이 향상됩니다.
- 도포된 플럭스의 건조가 빨라지고 건조된 피막의 강도가 증가합니다.
- 도금의 밀착성이 증대되어 강한 아연합금층을 부여해 줍니다.
- 아연조에 피도금물이 침적될 때 아연의 폭발비산이 현저히 감소합니다. (최적의 조건일 경우 아연비산 1M 이하)
- 아연제(Top Dross) 및 드로스(Bottom Dross)가 현저히 감소합니다.

사용방법

초기투입 (플럭스 용량당 약4%) :
→ 플럭스 10 Ton---침투제 400kg
→ 플럭스 20 Ton---침투제 800kg
→ 플럭스 30 Ton---침투제 1,200kg
→ 플럭스 40 Ton---침투제 1,600kg

보급량(도금)
→ 월1,000Ton당 300~500kg 추가투입
→ 월1,000Ton 생산 시 약 300~600kg
→ 월1,000Ton 생산 시 약 400~600kg
→ 월1,000Ton 생산 시 약 500~700kg

※단, 이때 액의 소모에 따른 보충수 투입 시 플럭스의 농도유지 (염화아연암모니아)


플럭스의 조건
→ 온도 : 65~75℃
→ 조성 : 염화아연과 염화암모늄의 중량비(약1:1.17)
→ 농도 : 15~40Be°

주의사항
- pH가 산의 유입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져 pH=3이하가 되면 암모니아수 등을 투입하여 pH를 조절하여 상기의 규격내에 들도록 하십시오. 이때 액의 중화과정에서 슬럿지의 발생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필터링을 병용하는 곳이 좋습니다.
- 표면 장력이 35이상이 되면 침투제의 함량이 부족하므로 적량을 보증하십시오.
- 요망하는 농도별 복염량입니다.
- 염화아연과 염화암모늄의 배합중량비입니다.
- 염화아연과 염화암모늄의 배합물(Mole)비입니다.
- 도금이 진행되면서 철함량이 증가합니다. 필터링을 하여 철의 함량을 줄여주십시오. 철 함량이 과량 존재하면 드로스(Dross) 증가와 침투제의 효과가 감소합니다.
- 염화이온의 증가는 산의 유입을 의미하므로 pH의 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.
- 냉각조에서 아연재(Ash)이탈이 잘 되지 않을 때에는 염화암모늄을 도금 10Ton당 약 120kg 비율로 뿌리십시오.
- 자체의 독특한 냄새가 있으나 계면활성제 자체의 냄새로 인체에 큰 영향은 주지않습니다.

주의사항
- pH가 산의 유입으로 지속적으로 떨어져 pH=3이하가 되면 암모니아수 등을 투입하여 pH를 조절하여 상기의 규격내에 들도록 하십시오. 이때 액의 중화과정에서 슬럿지의 발생이 있을 수 있으므로 필터링을 병용하는 곳이 좋습니다.
- 표면 장력이 35이상이 되면 침투제의 함량이 부족하므로 적량을 보증하십시오.
- 요망하는 농도별 복염량입니다.
- 염화아연과 염화암모늄의 배합중량비입니다.
- 염화아연과 염화암모늄의 배합물(Mole)비입니다.
- 도금이 진행되면서 철함량이 증가합니다. 필터링을 하여 철의 함량을 줄여주십시오. 철 함량이 과량 존재하면 드로스(Dross) 증가와 침투제의 효과가 감소합니다.
- 염화이온의 증가는 산의 유입을 의미하므로 pH의 저하와 관련이 있습니다.
- 냉각조에서 아연재(Ash)이탈이 잘 되지 않을 때에는 염화암모늄을 도금 10Ton당 약 120kg 비율로 뿌리십시오.
- 자체의 독특한 냄새가 있으나 계면활성제 자체의 냄새로 인체에 큰 영향은 주지않습니다.

비산의 효과가 저하하는 요인

- 플럭스내의 염화아연암모의 비율이 현저히 변화하였거나, 농도가 12Be° 이하로 급격히 떨어 졌을 시는 침투제의 효과가 감소합니다.
- 플럭스조내에 산성물질이 과도하게 유입되어 플럭스액이 강산화 되었을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의 구조가 산에 의해 손상 받을 수 있습니다.
- 미 탈지된 오일이 플럭스조내에 과량존재하면, 기포가 갑자기 발생하거나 플럭스조 상부에 오일스컴이 발생하여 액의 균일성이 급격히 저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- 작업 공정상 특별히 저기포를 원할 경우는 별도의 처방을 하는 것이좋습니다.
- 대기 습도의 조건에 의해 비산의 효과가 달라지므로, 고습도인 경우는 플럭스의 온도가 높은 경우가 좋습니다.
- 침투제를 첨가하여도 즉시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, (플럭스조건)에 해당하지 않을 경우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안정화하여 효과를 발휘합니다.

◆ 표면장력을 30dyne/㎠으로 유지
- Flux tank에 NT518 1~3g/L를 첨가합니다.
- Flxu : ZnCl₂, NH₄ solution 사용.
- 용융도금 시 Zn 튐 발생 시 NT-518을 첨가해 줍니다.

◆ pH 4.0~6.0 사용
- 암모니아수를 이용하여 pH를 4.0~6.0 사이로 유지하여 줍니다.
- pH가 2.0이 되었을 시 재건욕을 추천합니다.

◆ Fe 1.0% (10g/L 이하로 유지)
- Fe 농도 1.0% 초과 시용융아연도금조에서 튐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포장단위
- 200kg PE Drum, 1,000kg IBC Tank